정부, 로드맵 발표… 2017년까지 4조6000억원 시장 창출
안희민 기자ahm@ekn.kr 2015.04.22
[에너지경제 안희민 기자] 에너지 신산업이 2017년 경 4조6000억원대 시장으로 발돋움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올해 당장 1조83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가 에너지 신산업과 핵심 기술개발을 위한 이행계획을 22일 발표했다.
에너지 신산업은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안보, 수요관리 등 에너지 분야의 주요 현안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획된 사업이다. 전기차, 친환경에너지타운, 제로에너지빌딩, 에너지저장장치시스템, 에너지 자립섬, 수요자원 거래시장, 태양광 대여사업, 발전소 온배수 열 활용사업이 대표 사업이다.
그간 정부는 에너지 신산업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신시장 창출 마련해 왔는데 이번에 구체적인 이행계획을 발표했다.
정부 발표 따르면 2017년 에너지 신산업은 민간 중심의 자생적인 산업 생태계가 조성이 되며 1만4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된다. 시장 규모가 4조6000억원에 이르는 거대 산업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5670억원, 공공기관 4640억원, 민간 8020억원 등 총 1조8300억원의 예산을 투자할 계획이고 이행전략으로 정부 마중물 정책 강화, 핵심기술개발 과제 30개 추진, 해외 진출 지원 인프라 확보를 제시했다.
◇ 4조6000억 시장을 위해 정부 마중물 역할 - 정부는 각 사업별 특성을 고려해 차별화된 목표를 설정하고 연차별 구체적인 실천계획을 수립했다.
수요자원 거래시장은 수요자원의 규모가 현재 1.6GW에서 1.9GW로 확대해 LNG 발전소 4기에 해당하는 규모로 대폭 확대할 전망이다.
에너지저장장치는 주파수 조정용(FR, Frequency Regulation),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화 용도로 적극 활용될 전망이며 향후 3년간 총 660MWh의 대규모 보급 사업이 펼쳐질 전망이다.
에너지 자립섬 사업은 현재 울릉도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업이 향후 9개 이상의 섬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발전소 온배수열 사업에선 농어업 분야에서 온배수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매년 2개소 이상의 사업지역을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전기자동차 사업의 경우 3년간 총 575기의 급속 충전기, 총 4만4000대의 전기차를 보급할 계획이다.
태양광대여사업은 기존 단독 주택에서 아파트 등 공동 주택으로 확대해 3년간 2만2500가구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제로에너지발딩 사업은 현재 저층형 모델에서 고층과 타운형 모델로 확대하고 법적 기반도 마련된다.
친환경에너지타운은 올해 10개 도시가 추가로 지정됐으며 향후 15∼20개까지 점진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또 정부는 민간 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전력시장 규제완화, 정부재정확대, 금융 지원 등 기반 정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전력시장 규제완화를 추진해 다양한 사업자가 에너지저장장치의 전력을 전력시장에서 직접 거래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할 계획이다.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에 이어 확산사업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민간 자금을 활용해 총 1000억원 규모의 에너지 신산업 펀드를 조성해 기업의 초기 투자 부담을 완화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추진주체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뒀으며 기술 이전, 실증 사업 등을 통해 지역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할 예정이다. 충북은 태양광, 광주 연료전지, 대전-세종 바이오에너지, 포항 이차전지-CSS-연료전지 산업을 육성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2020년까지 기후변화대응 기술 수준을 선진국 대비 93%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현재는 81% 수준이다.
6대 핵심기술은 태양전지, 연료전지, 바이오에너지, 이차전지, 전력IT, 온실가스 포집처리(CCS)를 말한다. 작년 7월 정부가 선정했다.
태양전지 분야에서 실리콘 태양전지는 중소기어 애로 기술 등으로 한정하고 페로브스카이트 등 차세대 태양전지는 정부R&D를 강화해 우리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할 계호기이다.
연료전지 분야에선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용융탄산염연료전지(MCFC) 기반 복합 발전 등 차세대 연료전지 개발에 몰두해 2020년까지 기준 연료전지보다 성능을 발전효율 1.5배, 수명 두배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바이오연료 분야에선 미세조류를 고성장, 고지방으로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어류-피혁 폐기물도 연료나 화학제품 원료화 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2020년까지 기존 팜-대두 바이오연료의 생산비 수준인 리터당 1000원, 2025년엔 석유디젤 수준인 리터당 600원까지 끌어올린 계획이다.
이차전지는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차세대 이차전지 등의 소재, 전해질, 설계기술을 개발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처리는 당장은 수익성이 없어 민간의 연구개발 투자가 어려움으로 각 부처 협력으로 관련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정부와 민간의 기술개발 방향을 일치시키고 민간 수요에 부합하는 정책 수립을 위해 민관 협업 생태계를 조성한다.
◇ 해외 진출 지원 인프라 확보와 국제 기술협력 강화 - 정부는 에너지 신산업 기업이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현장 지원, 해외 시장 정보 제공 등 지원 인프라를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에너지 신산업 분야 수출지원 자문단을 구성하고 해외 에너지 신산업 리포트 발간,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아세안 등 전력 부족 국가를 상대로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글로벌녹색기금(GCF),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국제 기금을 활용한다.
녹색기술센터(GTC)를 글로벌 기술협력 플랫폼으로 삼아 개도국 수요조사, 국내 적합기술선별과 국내외 재원활요방안 마련, 기술협력 추진 등 전주기를 지원한다.
< 저작권자 ⓒ 에너지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에너지와 환경이 미래경제다>
'관련 뉴스 > 에너지 신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열병합발전시스템 초기시장 길 열리나 (0) | 2015.11.09 |
---|---|
'ESS 활성화' 위해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규정 개정 (0) | 2015.11.06 |
에너지 신산업의 총아(寵兒) 에너지저장장치(ESS), 국내 시장 본격적으로 열렸다! (0) | 2015.10.12 |
ESS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장치 (0) | 2015.10.12 |
[기획/ 위기의 스마트그리드] 3,4 (0) | 2015.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