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뉴스/전기차, 전기어선

2030년, 내연기관 자동차는 독일 판매 금지

인산철뱅크 2016. 10. 18. 14:13
2016-10-09 12:32:09  신현묵 기자(press@betanews.net)

엄청난 결정이 일어났습니다. 2030년부터 독일에서는 내연기관으로 동작하는 자동차를 금지하는데 합의하는 결정이 독일 의회에서 결정되었습니다. 물론, 유럽연합의 전체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협의될 것인지는 두고 봐야겠지만, 분명한 것은 이제 내연기관의 시대는 종말을 고하는 시대로 돌입한 것이죠.
 
물론, 이러한 중요한 결정을 한 것은 독일이 처음은 아닙니다. 노르웨이가 시작했고, 네덜란드가 결정했으며, 독일이 3번째로 결정한 것입니다. 지리상으로는 매우 의미 있는 흐름이라고 보입니다. 정말 큰 의미는 거대 자동차 생산국의 결정이라는 것이죠.

가장 거대한 완성차 업계를 몇 개나 가지고 있는 독일에서의 이번 판단은 정말 전격적입니다. 독일 폭스바겐의 배기가스 논란을 완전히 잠재우고, 독일이라는 브랜드의 가치를 최대로 높이기 위해서 독일은 큰 결정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2030년, 내연기관 자동차는 독일 판매 금지


분명한 것은 전기차는 이제 미래가 아니라, 매우 당연한 내일이 되었습니다.

주유업이나 에너지 계열, 각국의 세금 체계와 운영방식, 주변 생태계의 변화는 이제 시작입니다. 당연, 독일의 선택은 나비효과 이상으로 전 세계적으로 동작할 것입니다.

흥미로운 것은 대부분의 전문가와 관련 기관에서는 2030년 정도에 내연기관의 비중이 50% 정도로 축소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국내 완성차 업계는 어떻게 고민하고, 미래에 대한 내일의 로드맵을 완성시킬까요?
아마도, 아무런 관심이 없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자동차보다는 부동산업체로의 변화를 준비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분명한 것은 전기차는 기존의 유지 보수체계, 에너지 공급체계, 세금의 주요 관련 체계 등의 큰 변화가 모두 예고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작게는 전기차는 차량 정비가 매우 간단해집니다. 수십 개 정도의 모듈로 개인이 부품을 교환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차량 정비방식은 셀프 수리와 온라인 부품 판매 방식으로 변경되고, 셀프 주자창과 비슷한 셀프 수리공간이 마련될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물론, 개별적인 간단한 공구를 구비한 개인을 상대로 한 온라인 정비 방식 교육 콘텐츠도 유튜브에서 손쉽게 구할 것이 뻔하며, 용산전자상가에서 독특한 커스텀 제품을 판매할 가능성도 보입니다. 아! 요즘 추세로 본다면 청계천의 3D 프린팅 업에 활성화되면서 더 소량 다품종 제품이 선을 보일 가능성도 큽니다.

주유소들은 이동형 배터리 교환 서비스로 대체될 것입니다. 차량에 장착된 시그널을 인식하고, 한국처럼 개인 이기주의가 극대화된 공간에서 주차장에서의 충전 연결 자리를 찾기보다는 비용을 일부 지불하고 배터리를 매일 한두 번, 교체해주는 서비스를 선호할 것입니다. 이와 유사한 배터리 공유 플랫폼이 사용되겠죠.

더 경량화되고 자율 주행기술의 발달로 더 무미건조한 자동차의 실용적인 환경으로 변할 가능성도 큽니다. 예측되는 자율 주행환경은 부동산에서 엄청난 영향을 줄 것이며, 전기차는 그 환경을 더욱더 가속화하겠죠.

전기차의 메커니즘 자체가 컴퓨팅 기술로 세밀하게 제어되기 때문에 보험체계까지도 영향을 줄 것입니다. 자율 주행 + 전기차가 아닌 경우에는 오히려 자동차 보험료가 상승하고, 사고가 나더라도 자기 부담금이 더 클 것입니다.

차량 구입 방법도 배터리 공유, 교환 서비스, 보험 및 정비의 연계와 구매 P2P대출 등이 복합적으로 연계되면서 온라인이나 앱으로 구매하는 상황이 일상화될 것이 뻔합니다.

대형 완성차가 아니라, 소규모 생산이 가능한 전기차 업이 활성화될 것이고, 차량의 인가 방식 또한, 로컬이 아니라, 글로벌한 기준으로 검증되며, 소프트웨어 품질을 온라인으로 처리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굳이, 소규모 생산업계의 효과적인 사업화 방법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시장 환경과 정부의 규제도 바뀔 것입니다.

그뿐이 아니라, F1레이스의 우승자의 패턴이나 인공지능 체계를 우승한 드라이버가 정해지자마자, 앱스토어에서 구매가 가능한 환경으로 변화될 것입니다.

2030년 독일 의회의 결정은 정말 많은 것을 우리의 주변에서 일으킬 중요한 결정입니다. 이런 결정이 2016년 대한민국에서 결정되었으면 어떠했을까 합니다.

국내 완성차 업계가 몇조 원의 부동산을 사는 것이 아니라, 전국에 자율 주행 자동차를 위한 인프라와 주변 중소기업들의 전기차 전환을 위한 플랫폼과 펀드 지원체계를 만들고, 전기차에 어울리는 자율주행을 위한 법규나 주변 환경에 대한 변화를 의도했으면 어떨까 합니다.
 
슬프지만, 전기 누진세 논란의 주요 문제인 한전 독점의 상황은 한국에 더 거대한 허들일까요? 장점일까요? 현재의 세금 체계나 구조는 분명, 한국에 맞지 않을 겁니다.

다만, 냉정하게 보자면. 전기차를 위한 산업 인프라는 대한민국만큼 잘 갖추어진 곳도 드뭅니다. 도시 중심이고, 배터리나 전자업계의 구성도 어느 정도 풍부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소프트웨어 인프라와 네트워크 인프라까지 하드웨어 인프라는 풍부합니다.

하지만, 슬프게도 현재 상황에서 전기차와 자율 주행 자동차가 가동되었다면, 공인인증서나 #메일로 가동되는 환경이 되었을 수 있죠. 한편으로는 다행인 것 같다고 평가해야 하는 것이 매우 우울합니다.
 
기득권을 움켜쥐고 있는 에너지 마피아와 금융 마피아, 거대한 기득권은 이 결정이 불쾌할 것 같습니다. 슬프게도요...

베타뉴스 신현묵 기자 (press@betanews.net)


(사회책임)세계는 지금 친환경 전기차 시대로 가고 있다
입력 : 2016-10-17 06:00:00  수정 : 2016-10-17 06:00:00
이달 초 독일 연방 상원은 2030년부터 배출가스를 내뿜지 않는 자동차만 승인한다는 결의안을 초당적 합의로 통과시켰다이는 휘발유차와 디젤차의 판매를 중단한다는 의미다독일의 경우 지난해 타결된 파리기후협약을 이행하기 위하여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990년 대비 95%를 줄이지 않으면 안 되는 처지에 놓였는데이러한 움직임은 대부분의 EU(유럽연합국가들도 마찬가지지다실제로 독일만이 아니라 노르웨이와 네덜란드 등 유럽 일부 국가들도 2025년까지 내연기관 자동차의 판매를 금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그 파장은 EU 전체로 확산할 것으로 전망된다특히독일은 현재 EU 의장국이라 이러한 흐름을 주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우리가 사는 21세기는 가히 기술혁명의 시기다인공지능(AI)와 ICT(정보통신기술)를 기반으로 한 IOT(사물인터넷발전 속도는 상전벽해를 방불케 한다그러나 전기차는 이러한 기술혁명과는 조금 다른 궤()를 달리고 있다인터넷을 조금만 검색해 보면 나오는 얘기지만원래 전기차의 역사는 가솔린 차량보다 더 길다. 1884년 영국의 발명가 토마스 파커가 처음 전기차 개발에 성공한 이후 1900년 초반 양산되어 판매된 적도 있다무거운 배터리와 유가하락 그리고 가솔린 내연기관에 밀려 자취를 감췄지만 원래 전기차는 오래된 기술이었다.
 
전기차의 이러한 특징이 21세기에 다시 부활하고 있는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다기후변화와 환경의 관점에서 전기차는 운행 중에는 온실가스를 거의 배출하지 않는 것이 최대의 강점으로 부상하고 있다저탄소가 돈이 되고환경이 경쟁력이 되는 시대에 전기차가 부상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전기차 판매량이 이제 세계적으로 100만대를 넘어서면서중국은 이미 범정부 차원에서 전기차 드라이브를 걸고 있고미국 일본은 물론 EU도 속도를 내고 있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 전 세계 자동차의 30%를 전기자동차가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세계가 전기차 추진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무엇일까명분상 이유는 온실가스 감축이지만그 이면에는 새로운 먹거리,경제성장 동력 발굴에 있다전기자동차의 최대의 장점은 ICT, IOT기술을 자동차에 구현하기 쉬워 스마트폰에 이어 새로운 장치(Device)의 결집체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많은 사람들이 현재 자동차는 주행거리가 짧고속도가 늦다는 것을 선입견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주행거리는 현재 보급 중인 전기차만 하더라도 1회 주행에 200km 가까이 주행이 가능한 차들이 나오고 있고미국의 테슬라 전기차의 사례를 보면 앞으로의 배터리 기술력 등을 감안해 보면 몇 년 내로 300km 돌파에 이어, 400~500km까지 주행가능한 단계로 갈 수 있다.
 
전기차 확산을 지원하는 외국의 사례는 우리나라의 정부 정책에도 많은 시사점을 준다자동차 배기가스와 미세먼지 등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중국은 일반 국민들의 자동차 구매에 엄격한 제한을 두고 있지만전기차는 제외시켜 놓고 있어 판매대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노르웨이는 버스 전용차로에 전기차 운행을 허용했다일본과 미국 또한 구매지원금 확대와 세재 혜택 정책을 활발히 시행하고 있다.
 
현재 정부는 환경친화적 자동차 기본계획(2016-2020)을 내놓고 다방면의 추진 계획을 발표하고 있는데아직도 초보적인 단계다세계 완성차업계의 전기차 경쟁은 이미 점화됐는데도 불구하고 국내 완성차 업계의 대응은 늦어도 너무 늦다.
 
우리나라 에너지정책과 교통정책그리고 기후변화대책에서 전기차 보급은 큰 변화를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된다이 변화는 크게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축으로 전개될 것이다.
 
첫째각국의 전기차 정책은 그 나라의 에너지 믹스 현실을 반영한다전기차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쓰기 때문이다에너지 믹스에 따라 온실가스의 양이 결정되므로 정부 당국자와 시민단체와 환경단체들은 에너지 구성과 전력 생산 방식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현재 몇 가지 LCA(전과정평가평가를 해보면 전기차는 휘발유차나 디젤차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에서 50%수준으로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한다온실가스를 줄이고 싶다면 전기차를 타라는 말이 성립하는 것이다.
 
둘째전기차가 보급되면 유류세 수입이 급감하면서 정부 세수에 큰 충격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항간에는 정부가 전기차 보급에 소극적인 이유가 세수 저감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드디어 환경(온실가스미세먼지)과 경제(세수)가 새롭게 충돌하는 대변혁기가 다가오고 있는 셈이다.
 
셋째전기차산업 확산으로 인한 대량실업과 자동차산업으로의 진입장벽이 제거되는 측면이다이미 많은 기업들이 전기차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대학원생들 정도의 실력으로도 그럴싸한 전기차를 만들어 시범 운행을 하고 있으니 그 진입장벽이 무너지는 것은 시간 문제다.
 
완성차 업계의 많은 근로자들이 대량실업 사태를 맞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전기차가 자율주행차 단계로 발전하고전기차가 스마트폰처럼 하나의 멀티 디바이스(device)로 변화·발전한다면 새로운 ICT분야의 고용을 창출해내는 역할도 기대된다.
 
2017년 우리나라 전기차의 발전 동향은 어떻게 될 것인가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대책의 효과적인 수단으로 등장한 전기차의 미래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믹스 비전과 보조금세금정책과 경제정책의 재조정그리고 고용문제 해결과 신산업(산업4.0시대전략 모색이라는 다각적 틀 속에서 보다 강력한 추진 동력을 만들어 가야 할 때다.
 
황상규 SR코리아 대표(www.ksr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