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뉴스/전기차, 전기어선

중국, 공공기관 신차 절반 이상 전기車 의무화

인산철뱅크 2016. 4. 14. 09:33

입력 : 2016.02.25 09:05

전기차 구매 비율 30%에서 50%로 상향...주차장 충전시설 의무화 강화 
산학연 협력해 배터리 혁신 플랫폼 구축...LG화학 삼성SDI 위협

중국 정부는 지방정부와 공공 기관이 새로 구매하는 차량의 절반 이상을 전기자동차 등 신에너지차량으로 구매하도록 했다. 지난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규모로 성장한 중국의 전기차 시장 성장세에 날개를 달아주기 위해서다. 

특히 전기차용 배터리 독자 개발 능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LG화학과 삼성SDI 등 중국의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을 공략하는 기업들로서는 호재와 악재가 겹친 것이다.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24일 국무원 상무회의를 열고 신에너지자동차 산업 육성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확정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지방정부와 공공기관이 새로 구매하는 차량의 50% 이상을 전기차 등 신에너지차로 채워야한다는 게 골자다. 지난해 7월 발표한 지원 방안에서는 이 비율이 30%였다. 반 년만에 전기차 의무 구매 비율을 20%포인트 높인 것이다. 

중국 전기차 시장이 세계 최대규모로 성장하면서 덩달아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로 올라선 중국의 BYD. BYD는 중국 최대 2차전지 업체로 이를 기반으로 전기차 개발에 주력해왔다. / 블룸버그 제공
 중국 전기차 시장이 세계 최대규모로 성장하면서 덩달아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로 올라선 중국의 BYD. BYD는 중국 최대 2차전지 업체로 이를 기반으로 전기차 개발에 주력해왔다. / 블룸버그 제공

이번 지원 방안에는 전기차용 배터리의 독자 개발 능력을 확대하는 내용이 포함돼있다. ‘전기차용 배터리(기술)의 혁명적 돌파를 가속화 한다’는 게 그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은 기업 대학 연구소등이 협력해 배터리 혁신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산학연 협력 체제로 핵심 소재는 물론 배터리 시스템 개발 등 기초 연구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또 재정을 통해 배터리 성능과 판매량을 기준으로 (배터리)기업들에게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중국은 또 신에너지차의 품질 수준을 높이기 위해 시장 진입 기준을 보완하고 품질 및 안전 감독을 강화하기로 했다. 신에너지차와 사물인터넷(IoT) 연계도 강화하기로 했다. 스마트 카 육성에도 힘쓰겠다는 메시지다. 

이와 함께 사회자본이 충전 인프라 건설 운용에 진입하도록 독려하기로 했다. 주유소 처럼 전기차 충전소를 민간에 개방하겠다는 것이다. 전기차 리스와 배터리 재활용 등 서비스 영역에도 민간이 진입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중국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 건설을 가속화하기 위해 충전소 설치 운영과 관련해 지방정부와 부동산 개발상 관리사무소 등의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기로 했다. 중국은 이미 주택가는 물론 당정 기관과 공항 관광지 등의 주차장 건설 때 일정 면적을 충전 시설로 채울 것을 요구해왔다. 

중국 전기차 시장은 지난해 33만1100대로 전년의 3배 이상 늘면서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에 올랐다. 덕분에 중국 최대 전기차 업체인 BYD는 지난해 테슬라를 제치고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로 등극했다. 2014년부터 중국 정부가 전기차 보조금 등을 통해 시장을 적극 육성한 덕분이다.

중국 당국은 그러나 전기차 구매 때 지원하는 단순 보조금은 점차 축소하는 대신 기업들이 기술과 품질 경쟁력으로 승부를 걸도록 하는 쪽으로 전기차 지원 방향을 틀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전기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선 단순 마케팅에 의존하기보다는 연구개발 공조 체제를 이루는 동주공제(同舟共濟 ·같은 배를 타고 강을 건넌다) 식 접근을 해야한다는 주문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중국 당국의 전기차 육성 방안이 세계무역기구(WTO) 나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정신에 위배되는지도 면밀히 들여다 봐야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中 전기차 배터리 추격 뒤엔 둥펑車 CEO 출신 장관

  • 베이징=오광진 특파원
  • 입력 : 2016.02.27 10:47 | 수정 : 2016.02.27 12:42

    먀오웨이 공업정보화부장…900억원 들여 배터리 공동연구 추진
    2000~3000개 난립한 배터리 업계 구조조정도 추진

    지난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전기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한 중국이 핵심 부품인 배터리 

    독자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에서 현지 생산공장을 가동중인 LG화학과 삼성

    SDI의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 위협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를 주도하는 인물이 먀오웨이

    (苗圩∙61) 공업정보화부 부장(장관)이다.


    먀오 부장은 지난 25일 국무원 기자회견에서 9개 기업들과 손잡고 5억위안(약 900억원)을 

    들여 ‘(가칭)전기차 배터리 연구원‘을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먀오 부장은 공동 연구개발 

    플랫폼이라고 소개했다. 먀오 부장은 둥펑(東風)자동차의 최고경영자(CEO)를 지낸 자동차 

    전문가다. 둥펑차는 기아자동차의 중국 합작파트너이자 닛산자동차와도 합작공장을 운영중인 

    국유 자동차기업이다.


    허페이(合肥)공업대학에서 내연기관을 전공한 그는 중국의 자동차 유통업체와 생산업체에 

    근무한 뒤 둥펑자동차의 CEO에 올랐다. 둥펑차 본사가 있는 우한(武漢)시 당서기와 공업정보화부 

    부부장(차관)을 거쳐 2010년 12월부터 공업정보화부 부장을 맡아왔다. 국유기업과 지방정부의 

    고위직을 역임한 뒤 중앙부처의 관료로 승진하는 이른바 중국의 전형적인 엘리트 코스를 밟은 

    인물이다.

    먀오웨이 중국 공업정보화부 부장/블룸버그 제공
     먀오웨이 중국 공업정보화부 부장/블룸버그 제공

    먀오 부장이 언급한 전기차 배터리 연구원 추진은 하루 전인 지난 24일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확정한 전기차 육성 방안에 전기차용 배터리의 독자 개발 능력을 

    확대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과 무관치 않다.


    ‘전기차용 배터리(기술)의 혁명적 돌파를 가속화 한다’는 게 그것이다. 리 총리는 이를 위해 

    기업 대학 연구소등이 협력해 배터리 혁신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산학연 협력 

    체제로 핵심 소재는 물론 배터리 시스템 개발 등 기초 연구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중국은 또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은 점차 줄이는 대신 배터리 기업들에 대한 보조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리 총리가 내놓은 전기차 육성방안에 따르면 정부 재정을 통해 배터리 성능과 

    판매량을 기준으로 (배터리)기업들에게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반면 중국 당국은 이미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2017~2018년 2016년 대비 20% 줄이고, 

    2019~2020년엔 40% 축소하고, 2020년 이후엔 폐지하는 것을 골자로한 보조금 축소 방안을 

    발표했다. 전기차 산업의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장에 더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먀오 부장은 “배터리가 전기차의 성능 품질 안전을 좌우한다”며 공동 연구기지 구축은 
    중국 제조 2025’의 주요 프로젝트라고 소개했다. ‘중국 제조 2025’는 중국이 제조업 

    대국에서 독일과 일본을 뛰어 넘는 제조업 강국으로 가기 위해 지난해 가동한 대형 장기 

    국책 사업이다. 먀오 부장은 지난해 6월부터 공산당 국가 제조강국 건설 영도소조(領導小組, 

    리딩 태스크포스)의 부조장을 겸직하고 있다.


    공업정보화부는 특히 LG화학과 삼성SDI가 생산하는 삼원계 방식의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에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해 보호주의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중국에서는 이미 지난해에만 전기차용 배터리 사업에 중국 안팎의 기업들이 900억위안

    (약 16조 2000억원)을 투자하는 등 이 분야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국 언론들은 

    춘제(春節, 설) 이후 지난 24일까지 열흘간 리판(力帆) 등 3개 상장사가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위해 총 30억위안(약 54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공시를 내보냈다고 전하기도 했다. 


    중국 당국은 그러나 2000~3000개로 추정되는 배터리업체가 저급한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에 

    앞다퉈 나섬에 따라 최근 리튬이온 배터리 규범화 방안을 내놓는 등 수준 낮은 기업을 도태

    시키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중국 언론들은 저급한 수준의 전기차용 배터리는 이미 공급과잉 

    상태라고 전했다.


    중국이 반도체 스마트폰에 이어 한국의 차세대 먹거리 중 하나인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도 

    빠른 속도로 추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