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소기업 역할분담으로 전문성 있는 기술개발·품질향상 기대
승인 2016.12.31
【에너지타임즈】정부에서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에너지신산업의 핵심인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시장이 크게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전기업계가 대기업의 독점이 예상된다면서 에너지저장장치를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으로 지정해 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이사장 곽기영)은 에너지신산업 확산 관련 중소기업에게 기회를 달라는 업계의 의견을 반영해 지난 16일 중소기업 중앙회에 에너지저장장치를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으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전기조합 측은 에너지저장장치와 유수한 무정전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가 지난 30년 간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으로 보호받으면서 전력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공헌한 바 있다고 설명하면서 대기업은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를 중심으로 해외 시장을 개척하는 반면 중소기업은 국내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중소기업 규모나 기술능력을 감안할 때 전력변환장치(Power Converter System) 기준 1000kW 이하는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 지정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전기조합은 에너지저장장치가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으로 지정될 경우 대기업은 배터리를 생산하고 중소기업은 전력변환장치 생산과 에너지저장장치 제조·설치함으로써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역할분담으로 보다 전문성 있는 기술개발과 품질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기업계에 따르면 무정전전원장치가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으로 지정되면서 공공시장에서 보호를 받은 30~40곳 중소기업이 제조를 시작한 반면 민간시장은 80% 이상 해외제품이 점유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나마 이들 기업은 공공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워 민간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실제로 한국전력공사에서 발주한 주파수조정용 에너지저장장치의 경우 2014년 중소기업의 점유율은 70% 이상이었으나 2015년 대기업 저가공세로 50% 이하로 하락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한전 경쟁 입찰에서 105억 원이었던 추정가격이 77억9000만 원으로 낙찰된 바 있다.
전기조합 관계자는 “에너지저장장치 핵심부품인 전력변환장치의 경우 제품의 생산을 자동화할 수 없는 품목”이라고 설명하면서 “제도적으로 보호를 받지 못할 경우 중국산 등에 밀려 제조 산업의 기틀이 뿌리째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그렇기 때문에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은 높은 고용창출효과를 기대하는 동시에 관련 부품산업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내다봤다.
▲ 에너지저장장치. / 사진=뉴시스 |
'관련 뉴스 > 에너지 신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기관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 가이드라인 (0) | 2017.01.17 |
---|---|
에너지신산업 총 14조원 투자된다 (0) | 2017.01.05 |
日 전력산업 전면개방과 시사점 (0) | 2016.10.24 |
에너지 시장의 게임 룰이 변화하고 있다 (0) | 2016.10.24 |
태양광+ESS시장, 보수적인 금융권도 큰 관심 (0) | 2016.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