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자동차시장의 주도권이 미국에서 중국으로 옮겨가는 속도가 더 빨라질수 있다는 생각을 가능케 하는일이 발생했다. 중국 자동차회사 BYD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를 출시하며 “새로운 시대의 개막”을 선언한 것이다. BYD는 2009 디트로이트 모터쇼를 통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인 F3DM 과 순수 전기차인 E6등을 발표하며 전기차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채영석(글로벌오토뉴스 국장)
토요타는 여전히 하이브리드에 올인하고 있다. 그것은 하이브리드라는 것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어떤 에너지를 사용하더라도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생각에서다.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메이커들은 이러저러한 이유로 하이브리드카의 출시를 망설이고 있다. 미국 메이커들은 출시한지 반응이 없자 단종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닛산자동차와 현대자동차가 토요타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특허에 저촉되지 않는 스트롱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두 회사 공히 2010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실행에 옮겨질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신할 수 없다. 기술적인 문제보다는 시장의 상황 때문이다.
그런 가운데 2009 디트로이트 모터쇼를 통해 GM이 시보레 볼트용 배터리를 한국의 LG화학과 공동으로 개발해 미시간에서 자체 생산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새로운 양상을 띠고 있다.
GM은 시보레 볼트는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카 아니라 E-REV(Extended-Range Electric Vehicle)로 주장하고 있다. 전기차 모드도 가능한 하이브리드가 아니라 항속 거리를 늘릴 수 있는 전기차임을 강조한 것이다. 즉, 볼트의 내연 기관은 차를 움직이는데 쓰이지 않는다. 운행을 위한 동력은 전기 모터만이 담당하며 내연 기관은 배터리의 충전에만 쓰일 뿐이다. 좀 더 쉽게 표현하자면 전기모터에 직렬식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결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운전자의 입장에서 보면 전기로만 구동되는 자동차를 타는 것이다. 전기 모터의 출력은 150마력(37.8kg), 최고 속도는 160km/h이다.
파워트레인은 16 kWh의 리튬-이온 배터리와 가솔린과 E85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1.4리터 엔진이 조합된다.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엔진이 가동해 충전을 시작하고, 외부에서의 충전도 가능하다. 외부 충전은 120v 또는 240v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완전 충전에 걸리는 시간은 240V 시 3시간 이하, 120V 시에는 8시간이 소요된다. 매일 운행 거리가 64km 이하일 경우 차량 유지비는 하루에 80센트면 충분하다는 GM의 설명이다.
240V 에서 3시간 이하의 충전시간에 대해서는 크라이슬러도 같은 입장을 보였는데 재미있는 것은 미국은 120V를 주 전원으로 사용하는 나라라는 점이다. 그러니까 이정도의 시간 차이라면 120V를 240V로 바꾸는 것이 여러가지 측면에서 이롭다는 얘기가 나올 수 있다. 그에 대해서도 확실한 대안이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전기차에 대한 이야기는 아직은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고 이야기 하는 것이다.
이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채용한 자동차를 GM 과 포드, 크라이슬러, 토요타 등은 2010년 출시를 예정하고 있다. 그런데 중국의 BYD는 이미 2008년 12월부터 중국시장에 판매를 시작해 주목을 끌고 있다.
BYD는 2008년 12월 15일 1980년 중국에서 제일 먼저 경제특구(經濟特區)로 지정된 도시로 선전(Shenzhen)에서 F3DM이라는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카를 출시했다. 선전은 광둥성 남부 주장[珠江] 동쪽에 있는 도시로 광둥성과 홍콩[香港]의 경계를 이루며 주룽[九龍]반도의 북부를 서류하는 선전강[深川河] 연안에 있다.(네이버 백과사전)
BYD는 앞으로 광조우를 비롯해 베이징, 상하이, 킹다오, 항조우, 난징, 창하, 천진 등 13개 도시에도 차례로 F3DM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BYD의 젊은 사장은 F3DM에 대해 세계 최초의 상용 전기차라며 특별한 충전소가 필요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2009 디트로이트 모터쇼장에서 F3DM을 계기로 세계는 본격적으로 전기차 시대로 들어갈 것이라고 역설했다.
BYD의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카 F3DM의 차명 중 DM은 Dual Mode의 약자다. 그러니까 전기차 모드와 하이브리드카 모드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스보레 볼트는 전기차로서의 구동만을 하는데 반해 F3DM은 내연기관으로도 주행한다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문제는 어느 메이커든 배터리 기술이 관건이다.
BYD측은 배터리 기술의 확보로 인해 출시를 앞당길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F3DM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Ferrous based lithium-ion battery) 배터리는 최고출력이 75kW이며 한 번 충전으로 100km를 주행할 수 있다고 한다. 여기에 50kW의 가솔린 엔진과 결합한 시스템 출력은 125kW가 된다. 100km라면 대부분의 운전자들의 하루 평균 주행거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는 시보레 볼트의 72km보다 앞선 수치이다. 최고속도는 볼트가 160km/h인에 비해 F3DM는 150km/h. 또한 F3DM은 별도의 충전 시설이 있으면 15분에 80%를 충전할 수 있다는 점도 내 세우고 있다.
BYD는 또 이 배터리는 2,000번 이상을 충전할 수 있으며 60만 km의 주행이 가능하며 수명은 10년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절대 수량 때문에 아직은 배터리 팩과 전기모터, 주행장치를 비롯한 장비 등에서 규모를 갖추지는 못하고 있다. 하지만 BYD측은 중국시장에서 28만위안에 판매되고 있는 토요타 하이브리드카인 프리우스보다 절반 정도의 비용이면 운행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참고로 BYD는 현재 세계 최대의 니켈 카드뮴(NiCd) 배터리 생산업체로 전체의 65%를 점하고 있다. 휴대폰용 리튬 이온 배터리도 글로벌 시장의 3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배터리 분야에서는 독보적이다. 그 때문에 2003년 BYD가 자동차산업에 진출했을 때 그들이 생산하는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의 출시를 예상했었다.
2009 디트로이트 모터쇼는 디트로이트 빅3가 역경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전기차를 전면에 내 세웠다. 하지만 그 질적인 수준은 별도로 하더라도 시작은 중국에서 먼저 했다는 점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GM은 이제야 배터리 공장 건설에 착수했다. 그것도 셀은 우리나라의 LG 화학의 것을 사용한다. 과연 미국 업체들의 생리상 얼마나 효과적으로 실효성있는 전기차를 개발해 내놓게 될지 궁금하다.
더불어 중국 BYD가 출시한 전기차가 과연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제품력을 갖추었는지에 대한 검증과정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쇼장에서 직접 본 E6와 F3DM등은 여전히 조악한 마무리와 가죽 악취 등으로 인해 좋은 점수를 줄 수는 없었다. 하지만 중국시장은 워낙에 거대한 시장과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어 규모화하는데는 지금까지의 선진 메이커들과는 다른 길을 걸을 수 있다. 그것이 어떤 형태로 발전할지에 대해 현재로서는 그 누구도 예측하지 못하고 있다
09디트로이트쇼 7신-중국차, 이번에는 미국진출 가능할까? |
오늘날 대부분의 나라는 중국제품이 없으면 생활이 어렵다. 간단한 소모품에서 가전제품, 가구, IT제품, 의류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문득 자동차마저도 그런 시대가 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떠 올랐다.
중국의 자동차산업은 수출, 해외자본 영입, 그리고 내수시장의 급속한 팽창이라는 세 가지 엔진으로 그 세를 빠른 속도로 확장해 가고 있다. 중국의 2008년 자동차생산은 802만대로 2007년 같은 기간 대비 11.01% 증가했으며 판매는 11.11% 늘어난 794만대로 2007년 연간 생산 및 판매수치에 육박하거나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글 사진/ 채영석(글로벌오토뉴스국장)
그중 수출은 55만 7,500대로 2007년 같은 기간 대비 34.71% 증가했다. 전체 규모에서는 10%가 채 안되지만 그 성장속도를 감안하면 머지 않아 세계 시장에서 중국차의 위세가 대단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물론 양에 비해 질은 아직은 많은 차이가 있어 모든 시장에서 선진국 메이커들과 직접적인 경쟁을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번 디트로이트 쇼장에서 BYD와 브릴리언스의 목소리의 크기를 듣는 순간 섬뜩한 생각이 든 것은 필자만은 아닐 것 같다.
중국 메이커들의 미국시장 진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체리자동차 등 미국시장 출시를 위한 시도가 있었지만 품질 등의 이유로 무산됐던 일이 있었다. 그런데 중국의 자동차가 2009년 디트로이트모터쇼에서는 코보홀 전시장 안쪽에 정식으로 부스를 마련해 큰 소리로 중국산 자동차의 미국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하고 있었다.
전기차를 무기로 내 세우는 BYD
BYD(Build Your Dreams)는 주로 전기차를 주력 모델로 삼을 것을 선언했고 브릴리언스(Brilliance) 는 BMW와의 제휴를 통해 얻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주지아로의 디자인 포르쉐의 엔지니어링 등을 채용했다는 것을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BYD 는 전기차가 무대를 장악한 2009년 디트로이트쇼의 주제에 걸맞게 세 대의 전기차를 전시해 많은 주목을 끌었다. BYD는 2004년에 Qinchuan이라는 소형차 메이커를 인수해 자동차산업에 뛰어든 역사가 짧은 메이커다. 그리고 그 전신 역시 1996년 당시 29세의 젊은 나이의 사장 Wang Chuanfu가 20여명의 직원을 이끌고 창업한 충전용배터리회사다. 이 회사는 2002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배터리회사로 급성장했으며 현재는 13만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의 세계적인 투자가 워렌 버핏이 그의 자회사 버크셔 해서웨이를 통해 2008년 10월 BYD의 지분 10%를 매입해 주목을 끌었었다. 그는 BYD의 지분 10% 매입을 위해 2억 3천만달러(18억 달러)를 투자했다. 버핏은 BYD의 투자 파트너가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 회사가 갖고 있는 배터리와 전기차 기술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한편 워렌 버핏이 BYD 지분 10%를 매입했다는 소식이 들리자 BYD 전자의 주가는 72%나 상승했다.
BYD는 1995년 설립된 신생 메이커로 홍콩 주식에는 지난 2002년 상장됐다. 중국 내에서는 7개 공장을 갖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 일본, 한국, 인도, 대만에 직간접적으로 진출해 있다. BYD는 작은 규모지만 세계적인 배터리 제조사인 모기업의 후원을 등에 업고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0년부터는 한 번 충전으로 300km의 거리를 갈 수 있는 전기차를 유럽과 이스라엘에 출시할 계획도 갖고 있다. 그리고 2008년 12월부터는 중국 내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를 출시했다.
BYD는 2005년에 F3와 F6, 그리고 F0 등 세 가지 모델을 출시했으며 현재는 세계 최초의 양산형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카를 생산 판매하는 메이커임을 내 세우고 있다. 하지만 2009 디트로이트 모터쇼에 전시한 모델은 F3DM과 F6DM, 그리고 E6 등 세 가지 모델. DM은 듀얼 모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EV와 하이브리드 모드가 공존하는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의미한다. 그리고 E6는 순수 전기차로 한 번 충전으로 250km를 주행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모든 것이 해결된 것은 아니다. 미국시장에서 판매하기 위해는 미 연방정부의 안전규정을 통과해야 한다. 질리와 창펑, 체리자동차도 그런 이유 때문에 포기했었다. 우선 판을 벌이고 뒷 수습을 하는 것은 과거 우리나라 메이커들을 보는 듯하다.
BYD는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F6DM을 3만 달러 이하의 가격에, 순수 전기차인 E6는 3만~4만 달러선에서 출시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여기에 탑재되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안정성에 대해서도 검증이 필요하다. 자체 검증을 했다고 하는데 공식적인 자료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 규모는 세계적이라고 하지만 짧은 시간에 성장한 메이커들이 흔히 그렇듯이 중요한 부분에서 재동이 걸릴 가능성도 없지 않다.
브릴리언스, 미국 인증 통과가 과제
한편 2009년에 수출 대수 30만대를 목표로 하고 있는 브릴리언스 진베자동차는 세계적인 경기침체 속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장담하고 나섰다. BMW와 합작회사를 설립해 3시리즈와 5시리즈를 중국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는 브릴리언스는 중화 브랜드로 중소형 세단을, 진베 브랜드로 버스를 생산하고 있다.
브릴리언스는 내부적으로는 품질 개선에 포인트를 통해 내수시장에서의 성장을 추진함과 동시에 수출 확대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 충돌테스트에 통과한데 고무된 듯했다. 남아프리카 시장을 고려한 오른쪽 핸들 차량도 개발한다고 한다.
센양에 본거지를 두고 있는 브릴리언스는 이미 독일 등 유럽지역으로 수출을 시작했다. 이 회사의 BS4와 BS6 등은 이미 이태리의 NCAP테스트에서 별 세개를 받았다. 그 힘을 바탕으로 이번에 미국시장 진출을 노크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마찬가지로 배출가스규제기준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딜러 네트워크를 비롯한 제반 인프라 구축도 만만치 않은 일이다. 정작 중요한 제품력도 아직은 많은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디자인이야 여전히 짝퉁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BYD 는 그때문에 2009 디트로이트쇼 직전에 전시를 못할 위기에 처하기도 했었다.
실내에 들어가면 여전히 악취가 코를 찌르며 마무리 상태가 이해가 가지 않는 수준이다. 자동차는 기술을 배운다고 해도 하루 아침에 완성도를 높일 수 없다는 것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자동차산업이 전체적인 국민 수준이 올라가야 하는 종합산업이기 때문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