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신산업] 2020년까지 6000억원 규모, 신재생 연계 시장 수출 30억달러
(서울시정일보//이정우기자)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에너지 신산업 성장의 주춧돌 역할을 해내고 있다. ESS는 전력 사용량이 적은 시간에 전기를 배터리 등 저장장치에 저장했다가 사용량이 많은 시간에 공급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설비다.
특히 출력이 일정하지 않은 풍력이나 태양광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는 ESS를 통해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전력 피크를 감축할 수 있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할 수있을뿐더러 비축해둔 전력을 판매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어 에너지신산업의 기반재로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이 ESS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것은 2013년. 특히 2013년에는 피크 절감용으로 28MWh(시간당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량) 규모로 활용된 ESS가 지난해에는 풍력 연계형, 주파수 조정용, 피크 절감용 등다양한 분야에 177MWh 규모로 급성장했다.
특히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제도 시행으로 국내 ESS 시장은 올해 3000억 원 규모에서 2020년엔 6000억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선진국의 송배전망 시장, 개발도상국의 신재생 연계 시장 등에 대한 수출도 올해 4억3000만 달러 규모에서 2020년까지 30억 달러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ESS시장 6000억 원 규모
신재생 연계 시장 등 수출 30억 달러 수준으로 확대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배터리 부문에 삼성SDI, LG화학, 코캄, 인셀이 전력변환장치(PCS), 시스템통합(SI) 부문에는 효성, 포스코ICT, LG CNS, LS산전, 현대중공업, 우진산전, EN테크, 에너지관리시스템(EMS)에는 LG전자, LG CNS 등의 기업이 사업을 펼쳐나가고 있다.
세계 전망도 밝다. 미국 조사기관인 내비건트리서치(Navigant Research)에 따르면 ESS 세계시장 규모는 지난해 20억 달러에서 2020년에는 120억 달러로 6배가량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우리 정부는 ESS가 에너지신산업을 육성하고 분산형 전원(다양한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직접 연결되는 형태) 확대, 스마트그리드(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한 지능형 전력망) 확산 등 에너지 정책을 확산시켜나가는 주춧돌 역할을 할 수있도록 관련 기업과 협력하는 등 지원을 이어나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7월 5일 에너지미래전략위원회 출범식에서 발표한 ‘에너지신산업 성과 확산 및 규제개혁 종합대책’에서 기업 등에서 ESS를 활용해 전기요금을 절감한 만큼 할인해주는 요금제인 ESS 활용촉진요금의 적용 기한을 기존 1년에서 10년으로 대폭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는 그동안 ESS 활용촉진요금제의 적용기간이 1년에 불과해 기업들이 ESS 투자의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를 꺼리는 점을 해소하기위한 것이다. 제도를 시행하게 되면서 ESS 투자 회수기간은 10년에서 6년으로 단축돼 기업들의 투자 부담이 한결 가벼워질 것으로 보인다.
태양광과 ESS를 연결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재생 공급 인증서에 가중치를 부여해 ESS 신규 투자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계약전력 1000kW 이상 공공기관 ESS 의무 설치
2020년까지 총 1750억 원 신시장 창출
산업부는 ESS 분야의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ESS 비상전원 인정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ESS 활용촉진요금제 도입, ESS 저장전력의 전력시장 거래 허용 등 제도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왔다. 이로써 시장에서 ESS 설치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민간 기업은 최고치(피크) 절감과 비상전원용으로 올해 총 55MWh의 ESS를 설치할 예정이다.
공기업도 ESS 설치를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는 지난 5월 계약전력 1000kW 이상의 공공기관은 2017년부터 계약전력의 5% 이상 규모의 ESS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내용을 담은 ‘공공기관 에너지 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을 개정·고시했다.
ESS의 경우 신축 건축물은 2017년부터 건축 허가를 신청하는 건축물부터 적용되고, 기존 건축물(약 1109개소)은 ESS 설치공간 및 관련 예산 확보 등을 감안해 규모별로 단계적(2017~2020년)으로 추진한다.
한편 임대건축물, 발전시설, 전기·가스공급시설, 공항·철도·지하철 시설 등 특성상 의무화가 곤란한 시설에 대해서는 예외 규정을 두어 제외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존 건축물에 ESS를 설치할 경우 2020년까지 총 1750억 원(ESS 194MWh) 규모의 신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 필수적인 성능 평가와 안전검사를 위한 시험인증센터를 2018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한편 ESS를 활용한 사업자의 전기 판매사업이 허용되면서 에너지신산업 분야에 민간사업자(프로슈머 : 생산에 참여하는 소비자)의 판매시장 진출이 더욱 활성화된다.
정부는 기업형 프로슈머, ESS 판매사업자, 전력 직접 구매제도 등의 진행 상황과 성과 등을 보고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를 통해 민간 참여 활성화 대상과 범위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2017년 상반기까지 마련할 방침이다.
아울러 ESS 투자를 많이 하는 기업 또는 건물주가 한전이 아닌 전력 시장에서 구매 하는 경우에는 수수료 개선 등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오는 9월까지 마련할 예정이다.
이러한 지원책을 통해 요금이 낮은 밤에 충전한 전기를 낮에 판매하는 사업이 활성화되면서 ESS 분야의 투자가 확대되고 전력 수요 피크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담아놓을 수 없었던 에너지를 저장해 가정, 공장, 전력망 등에서 활용하는 ESS는 에너지 혁명이 가져올 변화의 핵심”이라며 “ESS가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촉진하고 에너지신산업의 많은 사업 모델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